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일본 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일본 시리즈는 일본 프로 야구의 양대 리그 우승팀 간의 7전 4선승제 우승 결정전이다. 매년 10월부터 11월 사이에 개최되며, 일본 야구 기구(NPB)가 주최한다. 1950년 시작되어,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우승팀이 격돌하며, 2007년부터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팀이 출전한다. 경기 방식, 연장전 규칙, 시상 등 다양한 규정을 가지며, TV 및 라디오 중계, 인터넷 중계로도 시청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야구 대회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맞붙는 올스타전으로, 팬 투표, 선수간 투표, 감독 추천을 통해 선수를 선발하며, 12개 구단에게 차례로 개최권이 주어지는 2경기로 진행된다.
  • 일본의 야구 대회 - 클라이맥스 시리즈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일본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포스트시즌 토너먼트로서, 각 리그 상위 3팀이 참가하여 최종 우승팀을 가리며,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일부 리그에서 취소되거나 축소 진행되었다.
  • 195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NBA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는 NBA 팀들이 신인 선수를 선발하는 연례 행사이며, 1947년에 시작되어 1989년부터 2라운드로 제한되었고, 추첨 제도를 통해 상위 지명 순서를 결정하며, 1990년대 후반부터 외국인 선수의 지명이 증가하여 NBA의 국제화에 기여했다.
  • 1950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랠리 스웨덴
  • 아시아 시리즈 - 2005년 아시아 시리즈
    2005년 아시아 시리즈는 일본야구기구가 주관하고 요미우리신문이 후원하여 삼성 라이온즈, 지바 롯데 마린스, 싱농 불스, 차이나 스타스가 참가한 국제 야구 대회로, 지바 롯데 마린스가 우승하며 일본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 아시아 시리즈 - 2013년 아시아 시리즈
    2013년 아시아 시리즈는 한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의 프로 야구팀들이 참가하여 중화민국에서 개최된 국제 야구 대회로, 캔버라 캐벌리가 우승했으나 대회 후 승부 조작 시도 주장이 제기되었다.
일본 시리즈
기본 정보
첫 개최1950년
최근 개최2024년
현재 챔피언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3번째 우승)
현재 준우승 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최다 우승 팀요미우리 자이언츠 (22회)
명칭
일본어nihongo2|日本シリーズ
nihongo3|||Nippon Shiriizu
일본어 (전체)nihongo2|プロ野球日本選手権シリーズ
nihongo3|||Puro Yakyū Nippon Senshuken Shiriizu
영어Japan Series
공식 명칭일본 선수권 시리즈
스폰서 명칭SMBC 일본 시리즈
대회 정보
종목야구
시작 연도1950년
참가 팀 수2
개최 시기10월에서 11월경
개최 방식홈 앤드 비지터
주최일본 야구 기구 (NPB)
스폰서코나미 (2011년 - 2013년)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2014년 - )
최근 우승 팀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 (26년 만에 3번째 우승)
최다 우승 팀요미우리 자이언츠 (22회)
공식 웹사이트공식 사이트
일본 챔피언nihongo|the Japan Series Champion|日本一|Nippon Ichi|number one in Japan|
기타
챔피언 깃발 가격스포니치 (Sponichi Annex)에 따르면 가격 정보를 찾을 수 있음 챔피언 깃발 가격 관련 기사

2. 운영 개요

2. 1. 주최

정규 시즌이나 클라이맥스 시리즈와는 달리 모든 경기가 일본 야구 기구(NPB) 주최로 한다. 입장료 수입의 일부는 구단에 분배되고 선수들에게도 4차전까지의 것을 기준으로 분배된다.[90][7]

2. 2. 일정

일본 시리즈는 양대 리그 챔피언이 결정된 후 매년 10월부터 11월경에 7전 4승제로 열린다.[91][92][93][94][95][96][97] 먼저 4승을 한 팀이 일본 시리즈 우승팀이 되며, 패전 팀은 탈락한다.

서기 홀수 연도에는 퍼시픽 리그 출전 팀, 짝수 연도에는 센트럴 리그 출전 팀이 1·2차전과 6·7차전을 홈에서 개최하고, 상대팀은 3·4·5차전을 홈구장에서 개최한다. 2·3차전 사이와 5·6차전 사이에는 이동일이 있다. 원칙적으로 출전 구단의 전용구장에서 개최하지만, 규정된 수용 인원(3만 명 이상)이나 설비 사정, 다른 행사 등으로 인해 전용 구장 이외의 대체 구장에서 개최된 사례도 있다. 출전팀은 미리 사용할 구장의 일정 확보가 의무화되어 있으며, 이를 소홀히 하면 제재금이 부과된다.[8]

우천 등으로 경기가 취소된 경우에는 2006년까지는 모든 일정이 순연되었지만, 2007년부터는 5차전까지 우천 취소 시 5차전과 6차전 사이의 이동일은 원칙적으로 마련하지 않는다. 단, 출전하는 두 팀의 홈구장이 멀리 떨어져 있어 당일 이동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이동일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2016년 일본 시리즈(히로시마 대 닛폰햄)에서는 히로시마·삿포로 간 당일 이동이 불가능하여 이동일을 하루 연기했다.[9]

무승부가 있어서 7차전을 끝내도 어느 팀도 4승을 거두지 못한 경우에는 그 다음날에 7차전이 열렸던 구장에서 8차전을 실시한다(1986년에 한 차례 있었다). 그래도 어느 팀도 4승을 거두지 못한 경우에는 이동일을 하루 끼워넣고 3 ~ 5차전에서 개최된 구장에서 9차전을 실시한다(실시한 사례는 없음). 7차전까지는 무승부 가능성이 있고 8차전 이후에는 반드시 승패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론상으론 14차전까지 갈 가능성이 있지만, 10차전 이후를 실시하거나 실시하는 경우의 사용 구장 등은 개최 요항에 기재돼 있지 않아 불명확하다.

2021년에는 9차전은 8차전 다음 날 8차전이 열렸던 구장에서, 8차전은 홈팀과 원정팀을 바꿔가며 개최하기로 했으나 6차전에서 승부가 났기 때문에 치러지지 않았다. 또한, 11월 30일까지 선수 등록 및 참가 보수 기간 내에 마무리를 짓기 위해 무승부나 우천 취소 등으로 11월 30일 시점에서 양 팀 승수가 같을 경우에는 타이브레이크로 우승 팀을 결정하기로 했다. 이는 프로 야구 사상 최초의 타이브레이크 채택이었다.[10][11][12][13] 타이브레이크에서의 성적은 수상 선수 선정의 대상이 되지만, 개인 통산 성적에는 가산되지 않고 참고 기록이 된다.[14]

타이브레이크 규정은 다음과 같았다.[15][16][17][18]

  • 새로이 출전 선수 등록과 타순표를 제출해야 한다.
  • 선공·후공은 직전 경기였던 11월 30일 경기와 동일하다.
  • 지명 타자를 적용한다.
  • 무사 1, 2루에서 시작한다.
  • 이닝 무제한으로 하여 승패가 결정될 때까지 실시한다.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기 속행이 불가능하게 됐을 경우에는 중단하고, 그 시점까지의 경기를 대상으로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이 규정하는 TQB(한 이닝 평균 득실차)가 높은 팀을 우승 팀으로 인정한다.

2. 3. 출전 팀

2007년부터 일본 시리즈 출전 팀은 양대 리그(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팀으로 결정된다. 2020년에는 센트럴 리그에서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개최되지 않아, 해당 연도 페넌트레이스 우승 팀이 출전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일본 시리즈에 진출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2007년 이후).

  •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3전 2선승제로, 각 리그 2위 팀과 3위 팀이 대결한다.
  •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 6전 4선승제(어드밴티지 1승 포함)로, 각 리그 우승 팀과 퍼스트 스테이지 승리 팀이 대결한다.
  • 일본 시리즈: 7전 4선승제로,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팀과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팀이 대결한다. 홈 경기는 격년으로 4:3 혹은 3:4 비율로 배분된다.


2006년 이전에는 각 리그의 페넌트레이스 우승 팀이 일본 시리즈에 출전했다. 단, 퍼시픽 리그는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었다.

  • 1973년부터 1982년까지는 전·후기 리그의 2시즌제를 실시하여 두 시즌 우승팀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출전 팀을 결정했다.
  •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상위 3팀 간의 플레이오프를 통해 출전 팀을 결정했다.

2. 4. 경기 방식

일본 시리즈의 경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양 팀은 시리즈 개시일 전전날까지 ‘출전 유자격자 선수’(최대 40명)의 명부를 제출하며 공시 후에는 이것을 변경할 수 없다. 벤치에 들어간 선수의 인원은 공식전과 마찬가지로 최대 25명까지 경기마다 유자격자 가운데서 선정한다.
  • 지명 타자 제도는 1984년까지 도입되지 않았고 1985년부터 격년제(1985년에는 모든 경기에 도입, 1986년에는 모든 경기에 도입되지 않음), 1987년부터는 퍼시픽 리그의 출전 팀의 연고지 구장에서만 도입되고 있다. 또한 2020년에는 코로나19의 감염 확산에 따른 특례 조치로 1985년 이후 35년 만에 모든 경기에 채택됐다.
  • 심판은 6인제가 채택되며 심판원은 일본 야구 기구(NPB) 심판부에서 선정된 총 8명의 심판원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2015년부터 총 7명의 심판원으로 운영된다.
  • 일시정지경기는 적용하지 않는다.


== 연장전 ==

연장전은 2018년부터 7차전까진 연장 12회, 8차전 이후에는 횟수 무제한(경기 시간은 일률 무제한)이 현행 규정이다. 1986년 일본 시리즈에서 1차전을 연장 14회에 무승부로 끝나면서 8차전까지 치러진 것을 계기로, 1987년부터 1993년까지는 7차전까지 18회, 8차전 이후에는 횟수 무제한으로 변경되었다. 1994년부터 2017년까지는 7차전까지 연장 15회로 단축되었다.

연장전 규칙 변천은 다음과 같다.

  • 1966년까지 : 일몰까지(당시 전 경기는 낮 경기).
  • * 1964년 : 22시 30분 이후 새로운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전 경기는 야간 경기).
  • 1967년 ~ 1981년 : 17시 30분 이후 새로운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 1982년 ~ 1986년 : 경기 개시부터 4시간 반을 경과한 시점에서 새로운 이닝에 들어가지 않는다.
  • 1987년 ~ 1993년 : 7차전까지는 18회, 8차전 이후에는 횟수 무제한.
  • 1994년 ~ 2017년 : 7차전까지는 연장 15회로 단축.
  • * 1994년 : 낮 경기·야간 병용을 위해 낮 경기의 경우에는 18회까지.
  • * 2011년 : 정규 시즌에서 채택된 절전 대책의 일환으로 ‘3시간 30분 중단 규정’은 사용하지 않는다. 2011년의 1차전은 낮 경기로 치렀지만, 연장은 종래대로 15회까지로 한다.
  • 2018년 ~ 현재 : 7차전까지는 연장 12회로 단축.
  • * 2021년 : 정규 시즌·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채택된 코로나 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9회 중단 규정’은 적용하지 않는다.
  • ** 2021년부터는 추가 경기도 12회 이닝까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추가 경기의 13회부터는 1루와 2루에 주자가 있는 WBSC의 2주자 동점타개 방식(주자 자동 배치)이 적용된다. 이는 고시엔과 유사하다.

2. 5. 시상

일본 시리즈가 종료되면 우승팀과 패전팀에게 각각 시상이 이루어진다.[4][5]

  • 우승 팀에게는 일본 야구 기구에서 우승 페넌트, 챔피언 플래그, 우승 기념품 제작 대금, 내각총리대신배 트로피를 수여한다. 또한 닛폰 TV, TV 아사히, TBS TV, TV 도쿄, 후지 TV 등 각 방송사로부터 총 250만 엔(각 50만 엔)의 상금과 기념 트로피(닛폰 TV, TV 아사히, TBS, TV 도쿄) 및 기념패(후지 TV)가 주어진다.[98]

  • 최고 수훈 선수(MVP)에게는 일본 야구 기구의 트로피와 함께 NPB 파트너 7개사(SMBC, 칼비,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다이쇼 제약, 닛폰 생명, 마이나비, 로손)로부터 각 100만 엔씩, 총 700만 엔의 상금이 지급된다.[98] 과거 1954년부터 2006년까지는 승용차가 부상으로 주어졌는데, 토요타 자동차에서 제공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마쓰다가 최대 주주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우승한 1979년, 1980년, 1984년에는 마쓰다에서 승용차를 제공했다.[98]

  • 우수 선수(3명)에게는 일본 야구 기구의 트로피와 상금 100만 엔이 수여된다.[98]

  • 감투 선수에게도 일본 야구 기구의 트로피와 상금 100만 엔이 주어진다.[98]

  • 홈런상은 각 경기에서 홈런을 친 선수에게 ‘SMBC 미도스케 홈런상’으로 SMBC에서 상금 3만 엔과 마스코트 캐릭터 ‘미도스케’ 인형을 증정한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SMBC 데이비드 홈런상’으로 상금 3만 엔, 2014년에는 SMBC(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코나미)에서 상금 5만 엔을 수여했다.[98]

  • 특별 협찬상: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스폰서인 코나미에서 '모두가 선택하는 코나미상'(상금 400만 엔, 2011년은 300만 엔), '드림 나인상'(상금 100만 엔, 2011년은 200만 엔), 'BASEBALL HEROES상'(상금 100만 엔, 2011년은 200만 엔), '파워풀 프로 야구상'(상금 100만 엔, 2012년부터), '프로 야구 스피리츠상'(상금 100만 엔, 2012년부터)을 시상했다. 2022년부터는 특별 협찬사인 SMBC에서 'SMBC 모두의 성원상'을 추가하여, 트위터에서 가장 많은 응원을 받은 선수에게 상금 100만 엔을 수여한다.[99]

3. 역대 일본 시리즈 결과

다네모 마사유키||요시다 요시오||한신 고시엔 구장

|-

|14||1963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만에||style="text-align:left"|6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니시테쓰||가와카미 데쓰하루||나가시마 시게오||이나오 가즈히사||헤이와다이 야구장

|-

|15||1964년||난카이||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5년 만에||style="text-align:left"|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신||쓰루오카 가즈토||J. 스탠카||야마우치 가즈히로||한신 고시엔 구장

|-

|16||1965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만에||style="text-align:left"|7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난카이||가와카미 데쓰하루||나가시마 시게오||모리시타 노부야스||고라쿠엔 구장

|-

|17||1966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8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난카이||가와카미 데쓰하루||시바타 이사오||와타나베 다이스케||고라쿠엔 구장

|-

|18||1967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9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가와카미 데쓰하루||모리 마사히코||아다치 미쓰히로||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19||1968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4년 연속||style="text-align:left"|10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가와카미 데쓰하루||다카다 시게루||나가이케 도쿠지||고라쿠엔 구장

|-

|20||1969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5년 연속||style="text-align:left"|11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가와카미 데쓰하루||나가시마 시게오||나가이케 도쿠지||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21||1970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6년 연속||style="text-align:left"|1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롯데||가와카미 데쓰하루||나가시마 시게오||이이시 레이지||도쿄 스타디움

|-

|22||1971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7년 연속||style="text-align:left"|13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가와카미 데쓰하루||스에쓰구 다미오||야마다 히사시||고라쿠엔 구장

|-

|23||1972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8년 연속||style="text-align:left"|14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가와카미 데쓰하루||호리우치 쓰네오||아다치 미쓰히로||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24||1973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9년 연속||style="text-align:left"|15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난카이||가와카미 데쓰하루||호리우치 쓰네오||노무라 가쓰야||고라쿠엔 구장

|-

|25||1974년||롯데||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4년 만에||style="text-align:left"|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주니치||가네다 마사이치||히로타 스미오||다카기 모리미치||주니치 스타디움

|-

|26||1975년||한큐||||첫 우승||4||2||0

|△||○||○||△||○||○||||style="background-color:#cccccc"|

|히로시마||우에다 도시하루||야마구치 다카시||야마모토 고지||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27||1976년||한큐||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요미우리||우에다 도시하루||후쿠모토 유타카||시바타 이사오||고라쿠엔 구장

|-

|28||1977년||한큐||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3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요미우리||우에다 도시하루||야마다 히사시||고노 가즈마사||고라쿠엔 구장

|-

|29||1978년||야쿠르트||||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히로오카 다쓰로||오스기 가쓰오||아다치 미쓰히로||고라쿠엔 구장

|-

|30||1979년||히로시마||||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긴테쓰||고바 다케시||다카하시 요시히코||이모토 다카시||오사카 구장

|-

|31||1980년||히로시마||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긴테쓰||고바 다케시||J. 라이틀||오가와 도루||히로시마 시민 구장

|-

|32||1981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8년 만에||style="text-align:left"|16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닛폰햄||후지타 모토시||니시모토 다카시||이노우에 히로아키||고라쿠엔 구장

|-

|33||1982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4년 만에||style="text-align:left"|4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주니치||히로오카 다쓰로||히가시오 오사무||가미카와 세이지||나고야 구장

|-

|34||1983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5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요미우리||히로오카 다쓰로||오타 다쿠지||니시모토 다카시||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35||1984년||히로시마||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4년 만에||style="text-align:left"|3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한큐||고바 다케시||나가시마 기요유키||야마오키 유키히코||히로시마 시민 구장

|-

|36||1985년||한신||||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세이부||요시다 요시오||R. 바스||이시게 히로미치||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37||1986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만에||style="text-align:left"|6번째||4||1||3

|△||●||●||●||○||○||○||○||히로시마||모리 마사아키||구도 기미야스||다쓰카와 미쓰오||히로시마 시민 구장

|-

|38||1987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7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요미우리||모리 마사아키||구도 기미야스||시노즈카 도시오||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39||1988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8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주니치||모리 마사아키||이시게 히로미치||우노 마사루||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40||1989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8년 만에||style="text-align:left"|17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긴테쓰||후지타 모토시||고마다 노리히로||아라이 히로마사||후지이데라 구장

|-

|41||1990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만에||style="text-align:left"|9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0

|○||○||○||○||||||||style="background-color:#cccccc"|

|요미우리||모리 마사아키||O. 데스트라데||오카자키 가오루||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42||1991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10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히로시마||모리 마사아키||아키야마 고지||가와구치 가즈히사||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43||1992년||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11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야쿠르트||모리 마사아키||이시이 다케히로||오카바야시 요이치||메이지 진구 야구장

|-

|44||1993년||야쿠르트||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15년 만에||style="text-align:left"|2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세이부||노무라 가쓰야||가와사키 겐지로||기요하라 가즈히로||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45||1994년||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5년 만에||style="text-align:left"|18번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세이부||나가시마 시게오||마키하라 히로미||기요하라 가즈히로||도쿄 돔

|-

|46||1995년||야쿠르트||

3. 1. 연도별 결과

타네모토 마사유키||요시다 요시오||고시엔 구장

|-

|14||1963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만에||style="text-align:left"|6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세이테쓰||가와카미 테츠지||나가시마 시게오||이나오 카즈히사||헤이와다이 구장

|-

|15||1964년||style="background-color:#B7D0FF"|난카이||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5년 만에||style="text-align:left"|2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한신||츠루오카 히토시||J.스탠카||야마우치 카즈히로||고시엔 구장

|-

|16||1965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만에||style="text-align:left"|7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난카이||가와카미 테츠지||나가시마 시게오||모리시타 마사토시||고라쿠엔 구장

|-

|17||1966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8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난카이||가와카미 테츠지||시바타 이사오||와타나베 타이스케||고라쿠엔 구장

|-

|18||1967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9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가와카미 테츠지||모리 마사히코||아다치 미쓰히로||니시노미야 구장

|-

|19||1968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4년 연속||style="text-align:left"|10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가와카미 테츠지||타카타 시게루||나가이케 도쿠지||고라쿠엔 구장

|-

|20||1969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5년 연속||style="text-align:left"|11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가와카미 테츠지||나가시마 시게오||나가이케 도쿠지||니시노미야 구장

|-

|21||1970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6년 연속||style="text-align:left"|12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롯데||가와카미 테츠지||나가시마 시게오||이이시 레이지||도쿄 스타디움

|-

|22||1971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7년 연속||style="text-align:left"|13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가와카미 테츠지||스에쓰구 다미오||야마다 히사시||고라쿠엔 구장

|-

|23||1972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8년 연속||style="text-align:left"|14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가와카미 테츠지||호리우치 츠네오||아다치 미쓰히로||니시노미야 구장

|-

|24||1973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9년 연속||style="text-align:left"|15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난카이||가와카미 테츠지||호리우치 츠네오||노무라 가쓰야||고라쿠엔 구장

|-

|25||1974년||style="background-color:#B7D0FF"|롯데||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4년 만에||style="text-align:left"|2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주니치||가네다 마사이치||히로타 스미오||다카기 모리미치||주니치 스타디움

|-

|26||1975년||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첫 우승||4||2||0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히로시마||우에다 도시하루||야마구치 타카시||야마모토 고지||니시노미야 구장

|-

|27||1976년||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2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우에다 도시하루||후쿠모토 유타카||시바타 이사오||고라쿠엔 구장

|-

|28||1977년||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연속||style="text-align:left"|3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1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우에다 도시하루||야마다 히사시||고노 가즈마사||고라쿠엔 구장

|-

|29||1978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야쿠르트||||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히로오카 다쓰로||오스기 가쓰오||아다치 미쓰히로||고라쿠엔 구장

|-

|30||1979년||style="background-color:#bfe0bf"|히로시마||||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긴테쓰||고바 다케시||다카하시 요시히코||이모토 다카시||오사카 구장

|-

|31||1980년||style="background-color:#bfe0bf"|히로시마||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2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긴테쓰||고바 다케시||J. 라이틀||오가와 도루||히로시마 시민 구장

|-

|32||1981년||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8년 만에||style="text-align:left"|16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닛폰햄||후지타 모토시||니시모토 다카시||이노우에 히로아키||고라쿠엔 구장

|-

|33||1982년||style="background-color:#B7D0FF"|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4년 만에||style="text-align:left"|4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주니치||히로오카 다쓰로||히가시오 오사무||가미카와 세이지||나고야 구장

|-

|34||1983년||style="background-color:#B7D0FF"|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2년 연속||style="text-align:left"|5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fe0bf"|요미우리||히로오카 다쓰로||오타 다쿠지||니시모토 다카시||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35||1984년||style="background-color:#bfe0bf"|히로시마||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4년 만에||style="text-align:left"|3회째||4||style="background-color:#cccccc"| ||3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한큐||고바 다케시||나가시마 기요유키||야마오키 유키히코||히로시마 시민 구장

|-

|36||1985년||style="background-color:#bfe0bf"|한신||||첫 우승||4||style="background-color:#cccccc"| ||2

|○||○||●||●||○||○||||style="background-color:#cccccc"|

|style="background-color:#B7D0FF"|세이부||요시다 요시오||R. 바스||이시게 히로미치||세이부 라이온스 구장

|-

|37||1986년||style="background-color:#B7D0FF"|세이부||style="text-align:right; border-right:hidden"|3년 만에||style="text-align:left"|6

3. 2. 구단별 기록

구단출장우승패퇴우승률경기승리패전무승부승률최근 출전 연도최근 우승 연도당시 결전 구장
          (대전 상대)(대전 상대)※구장명은 당시
요미우리362214.611206109952.5342020년(소프트뱅크)2012년(닛폰햄)도쿄 돔
세이부(니시테쓰)21138.61913068602.5312008년(요미우리)2008년(요미우리)도쿄 돔
소프트뱅크(난카이·다이에)211110.52411962552.5302024년(DeNA)2020년(요미우리)후쿠오카 PayPay 돔
야쿠르트963.6675430231.5972022년(오릭스)2021년(오릭스)홋토못토 필드 고베
오릭스(한큐)15510.3338340473.4602023년(한신)2022년(야쿠르트)메이지 진구 야구장
지바 롯데(마이니치·다이마이)642.6673217141.5482010년(주니치)2010년(주니치)나고야 돔
히로시마835.3755421294.4262018년(소프트뱅크)1984년(한큐)히로시마 시민 구장
닛폰햄(도에이)734.4294119211.4752016년(히로시마)2016년(히로시마)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주니치1028.2006023361.3902011년(소프트뱅크)2007년(닛폰햄)나고야 돔
한신725.2864317251.4052023년(오릭스)2023년(오릭스)교세라 돔 오사카
DeNA(다이요·요코하마)431.750221480.6362024년(소프트뱅크)2024년(소프트뱅크)요코하마 스타디움
라쿠텐1101.0007430.5712013년(요미우리)2013년(요미우리)일본제지 클리넥스 스타디움 미야기
긴테쓰404.0002610160.3852001년(야쿠르트)일본 시리즈 우승 경력 없음, 현존하지 않은 구단
쇼치쿠101.0006240.3331950년(마이니치)일본 시리즈 우승 경력 없음, 현존하지 않은 구단

3. 3. 리그별 통산 성적

wikitable

리그 통산 우승 횟수경기당 통산 성적
개최 횟수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전체 경기수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무승부
7538374452162209
※2024년 종료 시점




4. 에피소드

4. 1. 명칭 관련

제1회(1950년)부터 제4회(1953년)까지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을 참고한 ‘'''일본 월드 시리즈'''’(니혼 월드 시리즈/日本ワールドシリーズ일본어)라는 명칭이었다.[89][6] ‘일본 시리즈’에서 ‘일본’을 읽는 방법에 대해선 이전에는 ‘니혼-’(にほん일본어)이라고 읽게 하는 것이 주류였지만 2000년대부터 ‘닛폰-’(にっぽん일본어)이라고 읽히도록 변경됐다.[89][6] 2003년에 ‘Nippon Series’의 공식 로고가 선수용 헬멧에 붙여졌다.[89]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팀에게 수여하는 챔피언 플래그 기면에 ‘'''NIPPON'''’이라고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89][6] 이 챔피언 플래그는 가로 3m, 세로 1.4m 크기의 이등변삼각형 모양으로 디자인했고 제작에 드는 비용이 100만 엔 정도라고 한다.[89][6]

4. 2. 스폰서

종래에는 프로 야구 일본 시리즈에 기업이나 단체가 협찬 스폰서로 참여한 적이 없었으나,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게임 소프트웨어 대기업인 코나미 주식회사(코나미홀딩스 주식회사)[25]가 특별 협찬을 하여 대회 이름도 '''KONAMI 일본 시리즈'''(KONAMI日本シリーズ일본어)로 개최되었다. 코나미는 과거 2005년부터 2007년까지 개최되었던 아시아 시리즈에도 특별 협찬하여, 타이틀 스폰서로서 "KONAMI CUP"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었다.

2014년부터는 미쓰이스미토모 은행이 타이틀 스폰서가 되어 '''SMBC 일본 시리즈'''로 개최되고 있다.[26][27] 미쓰이스미토모 은행은 일본 시리즈 특별 협찬을 계기로 2014년 10월 1일, 일본야구기구의 협찬 스폰서인 "NPB 파트너" 계약을 체결했다.[28]

4. 3. 경기 개시 시각 관련

예년 일본 시리즈가 개최되는 10월 하순부터 11월은 야간에 기후가 춥기 때문에[29][30][107] 과거에는 평일에도 낮 경기로 진행된 적이 있었다.

일본 시리즈 사상 최초로 야간 경기가 개최된 것은 1964년 한신 타이거스난카이 호크스의 경기였다.[107] 이는 도쿄 올림픽 개최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로, 개막식이 예정된 10월 10일까지 모든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서였다. 원래 1차전은 9월 29일, 7차전은 10월 7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센트럴 리그의 우승 결정 지연과 우천 중지로 인해 10월 10일에 최종전을 치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시리즈 평균 관객 동원률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고, 다음 해인 1965년부터는 다시 낮 경기로 개최되었다.

평일 낮 경기는 회사나 학교를 쉬지 않으면 경기 관전이 어렵고, 텔레비전 시청률과 NPB 수익 문제와도 관련되어 199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 세이부 라이온스 경기에서 평일에 개최되는 3, 4, 5차전(세이부 라이온스 구장)에 한해 야간 경기를 시범 실시했다.[107] 이후 1995년 오릭스 블루웨이브야쿠르트 스왈로스 경기부터는 모든 경기로 확대되었다.[107]

2011년 1차전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진출함에 따라 13시에 경기가 개시되어 1994년 요미우리 대 세이부의 6차전 이후 17년 만에 낮 경기로 치러졌다.[108] 이는 중계권을 획득한 후지 TV가 같은 날 골든 타임에 월드컵 배구 2011을 방송하기 위해서였다.

2016년에 히로시마가 25년 만에 출전함으로써 현존하는 전체 12구단이 야간 경기 개최를 경험하게 됐지만, 낮 경기로 개최된 경험이 없는 팀은 라쿠텐뿐이다. 현재는 돔구장이 확대되면서 추위에 대한 문제가 적어져 전 경기가 낮 경기로 치러진 일본 시리즈는 1993년 대회가 마지막이었다.

4. 4. 콜드 게임

2005년 (지바 롯데 마린스한신 타이거스 1차전, 10월 22일, 지바 마린 스타디움)에는 7회말 원아웃 시점에서 짙은 안개 탓에 경기가 중단됐다. 그 후 날씨가 회복되지 않아서 결국 콜드게임이 됐다. 기상악화로 인한 콜드게임은 1953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 난카이 호크스) 3차전에 있어서 8회 종료 시점에서의 우천 콜드게임으로 끝난 이래 52년 만이었는데 짙은 안개로 인한 경기 중단이 그대로 경기 종료로 이어진 것은 처음있는 일이었다.

콜드게임으로 우승 결정이 난 사례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없다.

4. 5. 변칙적인 개최 일정

1950년 일본 시리즈는 개최 장소를 매 경기마다 변경했는데 1차전은 메이지 진구 야구장, 2차전은 고라쿠엔 구장, 3차전은 한신 고시엔 구장, 4차전은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5차전은 주니치 구장, 6차전은 오사카 구장에서 열렸다. 이 해 4승 2패로 마이니치 오리온스가 일본 시리즈 초대 우승팀이 되었지만, 6차전에서 쇼치쿠 로빈스가 승리하여 3승 3패가 되었을 때 7차전은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릴 예정이었다.[109]

1953년 일본 시리즈는 4차전까지 평상시대로 진행됐지만 5차전부터 7차전은 오사카 구장, 한신 고시엔 구장, 고라쿠엔 구장 순으로 열렸다. 이는 당시 규정에 ‘1, 3, 5, 7경기와 2, 4, 6경기의 사용 구장은 매년 양대 리그가 교대로 지정한다. 다만 1, 2경기와 3, 4경기, 5, 6경기의 사용 구장은 각각 연속하여 동일 지역에 있는 구장을 지정한다’라고 돼있었기 때문이다. 그 해 짝수 경기의 구장 지정권은 센트럴 리그에 있었고, ‘오사카보다도 수용 능력이 큰 고시엔이라면 엄청나게 벌 수 있다’라고 예상했지만, 입장자 수는 6,346명에 불과했다. 또한, 미일 야구의 영향으로 이동 및 휴양일이 없어 두 경기마다 경기 당일에 이동하는 강행군이었다.[109]

1962년 일본 시리즈 5차전과 1978년 일본 시리즈 4경기는 메이지 진구 야구장의 학생 야구 개최 사정으로 고라쿠엔 구장에서 대신 개최됐다.

1974년 일본 시리즈에서 롯데 주최의 3차전부터 5차전은 연고지로 등록돼 있던 현영 미야기 구장의 수용 인원이 3만 명 미만인데다 시설이 정비돼 있지 않았던 탓에 고라쿠엔 구장을 사용하였다.[110]

1979년 일본 시리즈와 1980년 일본 시리즈에서 긴테쓰가 주최하는 모든 경기는 닛폰 생명 구장의 수용 인원 수가 일본 시리즈 개최 기준인 3만 명에 달하지 않았고, 후지이데라 구장도 야간 시설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는 이유로 당시 난카이 호크스의 홈구장이었던 오사카 구장에서 대신 개최됐다.

1981년 일본 시리즈는 양대 리그의 출전 팀이 모두 고라쿠엔 구장을 연고지로 하는 요미우리닛폰햄이었기 때문에 6경기 모두 같은 구장에서 개최되면서 ‘’’고라쿠엔 시리즈’’’(後楽園シリーズ일본어)라고 불렸다.

1986년 일본 시리즈 1차전은 무승부로 시작됐는데 히로시마가 3연승을 했지만, 세이부도 3연승하는 바람에 7차전 종료 시점에서 양 팀 전적이 3승 1무 3패가 됐다. 결국 7차전이 치러졌던 구 히로시마 시민 구장에서 처음으로 8차전 이후의 경기를 펼쳐 승패를 결정짓기로 했다. 8차전에서 세이부가 승리하여 승패는 마무리 지어졌는데 당시 룰에 따르면 8차전 이후로도 횟수 무제한이 아니라서 만일 무승부였더라면 9차전 이후의 경기도 계속 치렀어야 했다.

2000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와 다이에가 맞붙게 됐지만, 3년 전인 1997년에 일본 뇌신경외과학회의 장소 대여 의뢰를 받은 후쿠오카 돔 측이 구단의 허가도 없이 일본 시리즈 일정과 겹치는 2000년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구장을 빌려주기로 결정하였다. 결국 ‘'''도쿄 돔·도쿄 돔·후쿠오카 돔·휴일·휴일·후쿠오카 돔·후쿠오카 돔·도쿄 돔·도쿄 돔'''’이라는 이동일 없이 9일간의 변칙 일정으로 경기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시리즈 종료 후 다이에 구단은 개최 일정 확보를 소홀히 했다는 이유로 일본 야구 기구로부터 제재금 3,000만 엔을 부과받았다.

2010년 일본 시리즈는 태풍 14호의 접근 우려로 인해, 10월 30일과 31일 나고야 돔 경기가 취소될 경우를 대비한 일정 변경이 있었다. 그러나 태풍으로 인한 영향은 없었고 개최 일정은 변경되지 않았다.

2020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의 홈구장인 도쿄 돔이 타 대회 개최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고 요미우리의 홈 경기는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개최하게 됐다.[111]

2021년 일본 시리즈는 당초 11월 13일에 개최될 예정이었지만, 일부 구단의 코로나19 감염 및 우천 취소가 잇따른 것을 토대로 11월 20일에 개최하기로 변경됐다. 야쿠르트 홈구장인 메이지 진구 야구장은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와 겹치는 관계로 사용할 수 없어 센트럴 리그 주관의 3~5차전은 도쿄 돔에서, 오릭스 홈구장인 교세라 돔 오사카AAA 콘서트가 예정돼 있어서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홋토못토 필드 고베에서 각각 개최됐다.[112]

4. 6. 비디오 판정

2015년 5차전에서 소프트뱅크의 이대호가 때려낸 타구가 좌측 폴대 위를 통과하면서 홈런으로 판정했지만 야쿠르트의 마나카 미쓰루 감독으로부터 항의가 있었고, 심판단에 의한 7분에 달하는 비디오 판정을 거쳐 판정은 번복되지 않고 홈런으로 인정됐다. NPB에서 2010년에 홈런에 대한 비디오 판정이 도입된 이후 일본 시리즈에서의 비디오 판정은 사상 처음이다.[113][114][40][41][42]

2016년 2차전에서는 그 해부터 도입된 홈 클로즈 플레이에서 비디오 판정이 나왔다. 6회말 무사 2루에서 히로시마의 기쿠치 료스케버스터로 친 타구는 좌익수 앞으로 빠져나갔는데 2루 주자 다나카 고스케는 홈으로 향했다. 닛폰햄 좌익수 니시카와 하루키가 포수 오노 쇼타가 있는 쪽으로 송구하자, 구심이던 시라이 가즈유키는 이를 아웃이라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히로시마의 오가타 고이치 감독이 비디오 판정 요구하여 심판단 협의에 의한 비디오 판독이 진행됐고, ‘오노의 터치보다 다나카의 손이 홈베이스에 먼저 닿아 있었다’라는 판정을 뒤집고 다나카의 홈인을 인정했다.[115][43]

같은 해 2016년 5차전에서도 2회초 무사 1루 때 히로시마의 시모즈루 고가 삿포로 돔 펜스상에서 튀어오르는 타구를 날렸는데 심판은 인플레이로 판정했다. 1루 주자인 고쿠보 데쓰야·타자 시모즈루는 각각 3루·2루에서 멈췄지만 오가타 감독은 홈런이 아니냐며 비디오 판정을 요구했다. 심판단은 비디오 판독 결과, 타구는 펜스 상단에서 튕겨져 나온 것으로 판단하여 판정은 뒤집히지 않고 무사 2·3루에서 경기는 재개됐다.

4. 7. 전 경기 동일 도도부현 내 개최

1970년 일본 시리즈는 양대 리그 출전 팀이 모두 도쿄도에 연고지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전 경기가 도쿄도에서 개최되었다.[116][44]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연고지인 분쿄구 고라쿠엔 구장과 롯데 오리온스의 연고지인 아라카와구 도쿄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치러졌으며, 이는 사상 최초로 같은 도도부현 내에서만 개최된 일본 시리즈였다.(‘도쿄 시리즈’ 또는 ‘GO 시리즈’)[116][44]

같은 도도부현에서 열린 일본 시리즈는 1981년의 두 사례뿐이다. 2020년 기준으로, 2008년에 오릭스가 오사카부프랜차이즈로 하고 센트럴·퍼시픽 양대 리그 구단이 동시에 연고지를 두는 도도부현이 없기 때문에 통상의 프랜차이즈 제도 하에서는 동일 도도부현에서 개최되는 일은 없다.[45]

5. TV 및 라디오 중계

5. 1. TV 중계

2010년까지는 기본적으로 홈경기 구단이 추천한 방송국과 직접 협상해서 그 방송국이 속하는 네트워크에서 경기 시작부터 종료까지 전국에 생중계됐다. 그러나 2010년 일본 시리즈에서 지상파 전국 중계가 실시되지 않은 경기가 세 차례나 있었다는 것을 계기로 2011년부터는 출전 구단이 방송국을 추천하면 TV 중계 협찬 스폰서의 광고대행사가 그 방송국을 통한 중계 협상을 벌이는 방식을 채택했다[117](그래도 보통 정규 시즌의 방송을 빈번하게 하는 방송국이 우선적으로 추천된 것에 변함이 없다). 그 이후로는 방송국의 프로그램 편성 사정으로 경기 시작 시간을 앞당기는 사례가 발생했다(2011년 1차전, 2016년 5차전). 중계는 통상적으로 야구 해설자 외에도 출전하지 않는 팀의 현역 선수나 감독(은퇴 혹은 퇴임이 결정된 사람도 포함)이 게스트로 출연하여 해설을 맡는다.

시청률(간토 지구)은 1990년대까지 평균 30% 전후를 차지하는 등 높은 인기를 얻고 있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차츰 저하되면서 2010년대 이후 대전에 따라서는 한 자릿수를 따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됐다. 2019년 이후에는 두 자릿수 시청률을 기록한 경기가 매년 한 경기만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118] 그런 한편으로 정규 시즌과 마찬가지로 간토 이외의 출장 팀의 연고지가 있는 지역에서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다.[119]

  • 센트럴 리그 구단에서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닛폰 TV), 주니치 드래건스(CBC 텔레비전, 도카이 TV, TV 아이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후지 TV, TV 아사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TBS TV)와 같이 특정 방송국에 홈구장 주최 경기의 방영권이 주어진다. 이들 구단이 일본 시리즈에 출전할 경우 정규 시즌과 동일하게 방영권도 이들 방송국이 속한 네트워크 계열사가 반드시 추천된다.
  • 한신 타이거스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대해서는 각 방송국에 방영권이 균등하게 분배되고 있지만 한신 타이거스의 경우 아사히 방송이 수요일과 일요일 경기의 방영권을 우선시켰으며 한신이 일본 시리즈에 출전할 경우 방영권도 그것을 답습하고 있다. 따라서 센트럴 리그 구단의 개최 경기에서는 TV 아사히 계열사가 추천된 것은 한신이 일본 시리즈에 출전할 경우엔 원칙적으로 수요일과 일요일 경기, 히로시마가 출전했을 경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가 출전하고 후지 TV가 편성상 사정으로 독점하지 않은 경우 홈구장 개최의 일부 경기에 거의 한정된다.
  • 퍼시픽 리그 구단에서 특정 방송국에 연고지 주최 경기의 방영권이 주어지고 있는 것은 오릭스 버펄로스(간사이 TV),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TV 아사히, 1988년 이전에는 TBS TV),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히가시닛폰 방송)가 있다. 한편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 지바 롯데 마린스,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는 비교적 균등하게 방영권이 주어졌으며, 소프트뱅크는 다이에 시절인 1999년에 TV 니시닛폰이 2경기를 획득한 것 외에는 1개국에 여러 경기 방영권을 획득한 사례는 없다.
  • 낮 경기로 이뤄지고 있던 1994년까지는 TV 도쿄 계열 이외의 각 계열이 방영권을 획득했을 경우에는 획득한 계열 이외의 국에서도 방송되고 있었지만 전 일정이 야간으로 개최된 1995년 이후에는 방영권을 획득한 계열의 국에서만 방송되고 있다. 그 때문인지 현에 따라서는 전 경기가 방송되지 않은 해도 있다.
  • * 1995년 이후 크로스넷 방송국의 취급은 다음과 같다.
  • ** 후쿠이 방송: 닛폰 TV 계열 제작에만 방송(TV 아사히 계열 제작 방송은 없음)
  • ** TV 오이타: 화·목요일은 후지 TV 계열 제작에만, 수·토·일요일은 닛폰 TV 계열 제작에만 각각 방송
  • ** TV 미야자키: 화·수·목·토요일은 후지 TV 계열 제작에만, 일요일은 닛폰 TV 계열 제작에만 각각 방송(TV 아사히 계열 제작 방송은 없음)
  • * 이하의 현은 완전 야간 개최가 된 1995년 이후에는 계열국이 소재하지 않는 계열이 중계를 실시하는 경우는 방송하지 않는다(TV 도쿄 제작의 경우 제외).
  • ** 닛폰 TV 계열 제작: 오이타현(화·목요일 경우에만 해당), 미야자키현(화·수·목·토요일 경우에만 해당), 오키나와현
  • ** TV 아사히 계열 제작: 야마나시현·도야마현·후쿠이현·돗토리현·시마네현·도쿠시마현·고치현·미야자키현
  • ** TBS 계열 제작: 아키타현·후쿠이현·도쿠시마현
  • ** 후지 TV 계열 제작: 아오모리현·야마나시현·야마구치현·도쿠시마현·오이타현(수·토·일요일 경우에만 해당)·미야자키현(일요일 경우에만 해당)
  • ** 현재 TV 아사히 계열국이나 후지 TV 계열국이 있는 지역 중 1994년에는 3~5차전이 야간에 열렸지만 TV 아사히 계열의 방송이 됐기 때문에 이와테현·에히메현·오키나와현은 방송되지 않은 것 외에 1995년·1996년 후지 TV 계열 중계 경기는 야마가타현과 고치현에서, 1995년 3차전은 TV 아사히 계열의 방송이 됐으므로 이와테현에서 각각 방송되지 않았다.
  • 퍼시픽 리그 구단은 TV 도쿄·TV 도쿄 계열의 방송국이 추천을 받곤 하는데 소프트뱅크, 지바 롯데, 닛폰햄, 오릭스에서 추천 실적이 있다. 이 경우 계열국이 적기 때문에 실제로 지상파로 생중계를 볼 수 있는 지역은 다른 계열 방송국에 비해 큰 폭으로 적은 편이다(센트럴 리그 측은 그동안 주니치 드래건스가 진출했을 경우에만 방송권을 따냈다). 위성방송인 NHK BS1(예전에는 NHK 하이비전도)을 통한 중계로 보완하게 된다(TV 도쿄 계열의 BS TV 도쿄에서의 방송은 현재 실시되지 않은 상태임).
  • * 과거에 TV 도쿄는 다음의 경기를 방송하였다.
  • ** 1970년·롯데 vs 요미우리(3·4차전, 4차전은 NHK 종합 텔레비전 병렬)
  • ** 1974년·롯데 vs 주니치(5차전)
  • ** 2003년·다이에 vs 한신(7차전, 제작·TVQ 규슈 방송)
  • ** 2005년·지바 롯데 vs 한신(2차전)
  • ** 2006년·닛폰햄 vs 주니치(4차전, 제작 협력·TV 홋카이도)
  • ** 2007년·닛폰햄 vs 주니치(2·5차전, 2차전은 제작 협력·TV 홋카이도, 5차전은 센트럴 리그 측의 홈경기 제작 협력·TV 아이치)
  • ** 2010년·지바 롯데 vs 주니치(4차전, 1차전 = 센트럴 리그측 홈경기의 방영권을 TV 아이치가 따냈는데 전국 중계는 되지 않았음)
  • ** 2011년·소프트뱅크 vs 주니치(2·5차전, 2차전은 제작 협력·TVQ 규슈 방송이며, 5차전은 센트럴 리그측의 홈경기 제작 협력은 TV 아이치)
  • ** 2015년·소프트뱅크 vs 야쿠르트(2차전, 제작 협력·TVQ 규슈 방송)
  • ** 2021년·오릭스 vs 야쿠르트(2차전, 제작 협력·TV 오사카)
  • ** 2023년·오릭스 vs 한신(2차전)
  • * 또한 방영권을 획득하면서 우승 결정에 의한 미개최로 결방된 것은 다음과 같다.
  • ** 2005년·지바 롯데 vs 한신(7차전)
  • ** 2009년·닛폰햄 vs 요미우리(7차전, TV 홋카이도 제작 협력)
  • ** 2010년·지바 롯데 vs 주니치(8차전, TV 아이치 제작 협력에 의한 전국 방송될 예정이었음)
  • ** 2019년·소프트뱅크 vs 요미우리(7차전, TVQ 규슈 방송 제작 협력)
  • 1970년과 1974년에는 온종일 개최됐는데 일부 방송국에서는 로컬 세일즈 시간대였기에 특히 도쿄 12ch과 결속이 강한 지방 방송국으로 프로그램이 판매돼 동시 방송이 이루어졌다.
  • 그러나 야간 경기 개최 이후 6차례(경기 자체가 없었던 때를 제외한 이하 동문)의 중계는 계열 방송국의 편성 사정으로 생방송은 TXN 계열 5개국과 주쿄·긴키의 독립 현지국을 시청할 수 있는 지역에 한정됐으며 2003년에 지방 방송국에는 90분으로 편집한 녹화 중계 버전을 판매하여 당일 심야(다음날 미명)에 방송했던 방송국도 있었지만 2005년 이후에는 그것마저 방송되지 않고 계열이 없는 대다수의 현에서는 TXN의 경기 실황을 볼 수 없는 상태가 됐다(BS JAPAN→BS TV 도쿄·TX계열의 CS(AT-X닛케이 CNBC)에서도 중계되지 않았기 때문).
  • 1999년 다이에-주니치의 경기에서도 한 번은 7차전을 TV 도쿄 계열(제작·TVQ 규슈 방송(당시))에서의 방송이 결정돼 있었지만 계열 방송국이 적은 것과 위성방송의 전혀 보급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ANN(규슈 아사히 방송)에 양보했던 적이 있다. 그러나 다이에가 4승 1패의 성적으로 우승하면서 7차전 자체가 열리지 않았다.
  • 1998년에 닛폰햄, 2001년에 다이에가 각각 진출했을 경우 1998년에는 4차전, 2001년에는 7차전 방영이 검토됐지만 이들 두 팀이 우승을 놓쳤기 때문에 무산됐다.
  • 2023년에는 퍼시픽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오릭스, 지바 롯데가 각각 진출할 경우 2차전 방송이 검토된 바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한신, 히로시마가 남아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한신이 진출했기 때문에 2차전 방송에 이르렀다.
  • 또한 TV 아사히 계열은 1970년대 후반의 UHF 방송국 개국 이후 1990년대의 헤이세이 신국의 개국 때까지 기간 도시에서의 단계를 뒤쫓아 최종적으로 기간 도시 이외의 지방 계열을 늘렸지만 계열 방송국이 적었던 시대에는 그 추천을 좀처럼 받지 못했기 때문에 중계를 할 수 있었던 경기는 한정됐다. 중계를 할 수 있었을 경우에도 낮 경기로 개최된 시절에는 대부분 지역이 계열외 네트워크가 됐다.
  • NHK에서도 1991년까지는 주로 가장 빨리 우승이 결정되는 4차전을 중심으로(예외 있음)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생중계하였으나 위성방송의 보급에 의한 방송 편성을 재검토하면서 지상파에서의 방송은 1991년 이후에 이뤄지지 않았다. 독점 방송은 앞에서 말한 1974년 주니치 대 롯데 6차전(롯데가 우승을 결정짓는 경기)을 마지막으로 중단됐다.
  • 2023년에는 사상 최초의 민방 5국 네트워크가 5차전까지 최소 1경기씩 중계를 실시했다. 당초 2019년에도 1차전·2차전·6차전·7차전이 닛폰 TV 계열을 제외하고 방영권을 얻었지만 4차전에서 승부가 났기 때문에 실현되지 않았다.
  • 2024년에는 2차전이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겹치면서 28년 만에 선거 특집 방송과 일본 시리즈 중계 스케줄이 겹치는 상황이 발생했다.
  • 1985년 한신 대 세이부의 3·5차전이 효고현 지역 방송국인 선 TV(효고현 로컬)에서 방송됐다. 독립 현지국에서는 인터넷으로 받는 것 이외에는 사상 첫 방송권이었지만 이 때는 3차전이 아사히 방송, 5차전은 요미우리 TV와의 병렬 방송이었기에 독점 방송은 아니었다. 이후 2003년 한신 대 다이에, 2005년 한신 대 지바 롯데 등 2차례는 선 TV가 주관 경기의 방영권을 얻는 일은 없었지만, 효고현내에서는 인접 부현의 TXN 계열 현역국인 TV 오사카·TV 세토우치가 수신할 수 없는 지역에 대한 배려로서 한신 구단의 요청에 의해 TV 도쿄 제작의 각각 퍼시픽 리그측 주관 경기(2003년 7차전, 2005년 2차전)를 네트워크로 중계한 바 있다. 하지만 2023년 한신 대 오릭스에 대해서는 방송이 보류됨에 따라 TV 도쿄 계열에서 중계된 2차전이 한신의 보호지역인 효고현내 중에서 TV 오사카나 TV 세토우치 중 어느 것도 TV 수신이 불가능한 세대에서는 지상파에서 중계를 맛볼 수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 2010년의 1차전·2차전·5차전은 지상파 전국 중계를 하지 않았다. 주부닛폰 방송의 계열국인 TBS 계열에 우선권이 있었지만 시간대가 ‘세계 배구’ 중계와 겹쳐 TBS 계열은 방송권을 획득하지 않았다. 1차전은 나고야 돔이 있는 아이치현 계열 방송국인 TV 아이치, 2차전은 주쿄 광역권의 도카이 TV에서, 5차전은 지바 마린 스타디움이 있는 지바현 현역 독립 방송국인 지바 TV에서는 지바현 로컬에서 방송됐다. 앞에서 말한 한신과 세이부의 경기가 광역 방송(준 키국)과의 병렬이 있었다면 이 경기의 지상파 방송은 지바 TV 뿐이어서 당초에는 사상 최초로 ‘현지 독립 방송국 독점 중계’가 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 후 5차전의 중계에 관해서는 11월 3일에 CBC가 갑작스레 자사 제작을 실시하는 도카이 지방에서의 방송을 맡으면서 지바 TV 제작의 중계가 미에 TV에도 동시에 네트워크 방송하기로 했다.[120] 그런데도 간토 지방에서는 지바 TV만이 방송하여 키국을 포함해 ‘간토 지방 TV 방송국 독점 중계’가 됐다.

계열 방송국에 따라 대응이 달라진다. 프로 야구 중계방송 실적이 없는 방송국은 원칙적으로 생략한다.

;NHK

  • NHK-BS에선 1998년과 2002년을 제외하고 방송 실적이 있다. 특히 지상파인 TV 도쿄 계열의 중계를 하는 경우에는 방송되지 않은 지역의 커버로 반드시 열린다. 2009년 이후 BS에서는 NHK BS1에서만의 방송이 됐으며 타 BS방송국에서는 2012년 BS 닛폰 TV에서 녹화 다이제스트를 제외하고 방송되지 않게 됐다.
  • * BS1 : 1988년 ~ 1991년(전 경기 녹화 중계), 1992년 ~ 1997년(4차전만 생중계, 그 외에는 녹화 중계), 1999년(2·3차전), 2000년(4·5차전), 2007년(2·5차전), 2009년(1·2·3·6차전), 2010년(1·2·3·4·5차전), 2011년(2·5·6·7차전), 2012년(2·3·4차전), 2013년(2·3·6·7차전), 2014년(2·3·4·5차전), 2015년(1·2·3차전), 2016년(4·5차전), 2017년(1·2·4·6차전), 2018년(3·4·5차전), 2019년(1·2·3차전), 2020년(2·3·4차전), 2021년(1·2·3·4·5·6차전), 2022년(2·3·5·6차전), 2023년 (1·2·3·5차전)
  • * BS hi : 2008년(1·6·7차전)
  • * BS1·BS hi 동시 방송 : 2001년(2차전), 2003년(1·2·4·5·7차전), 2004년(2·7차전), 2005년(2차전), 2006년(2·4차전)


;닛폰 TV 계열

  • BS닛폰에서의 방송 실적은 없음(다만 2003년(2차전, 5차전), 2012년(1차전, 6차전), 2013년(4차전, 5차전)에는 1시간 다이제스트판으로 방송).


;TV 아사히 계열

  • BS아사히에서 2001년(1·4전. 후자는 녹화), 2002년(3차전), 2003년(3·6차전. 후자는 녹화)는 완전 중계했으며 또한 2006년(3·5차전), 2007년(1차전), 2008년(2 ~ 5차전)은 각각 1시간 다이제스트판으로 방송했다.


;TBS 계열

  • BS-TBS에서 BS-i 시대인 2002년(4차전), 2004년(5차전)에 방송 실적이 있다.


;TV 도쿄 계열

  • BS JAPAN에서는 방송 실적은 없다.


;후지 TV 계열

  • BS후지에서 2001년(3·5차전), 2004년(6차전)의 방송 실적이 있다.


그 외 BS11, TwellV, FOX bs238, J SPORTS 등 2007년 이후에 개국한 방송국에서의 방송 실적은 없다.

;닛폰 TV 계열

  •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가 주관하는 모든 경기) 이외의 다른 구단이 출전할 경우, 후자는 계열국이 방영권을 얻을 경우엔 닛테레 지타스를 통해서 완전 생중계와 심야에 완전 녹화 중계(지상파와 같은 내용)를 한다. 닛테레 NEWS24·닛테레 플러스 드라마·아니메·스포츠는 방송 실적이 없다.


;TV 아사히 계열

  • 테레 아사 채널 2(2012년에는 아사히 뉴스타)에서 지상파와 같은 내용으로 완전 녹화 중계였다. 또한 TV 아사히에는 직접 관할하는 CS 테레 아사 채널 1도 있지만 이쪽은 구성의 특수성의 관계상 방송 실적이 없다. 또 2011년까지 TV 아사히 계열 제작의 경기는 같은 계열 방송사인 아사히 방송(현재의 ‘아사히 방송 그룹 홀딩스’. 인정 방송 지주회사 이행과 함께 분사화되면서 TV 사업 자체는 그 자회사인 아사히 방송 TV로 계승) 산하의 스카이·A에서 방영된다.


;TBS 계열

  • TBS 채널 2에서 지상파와 같은 내용으로 완전 녹화 중계였다. 2013년까지는 편성의 특수성 관계로 방송 실적이 없었다(또한 TBS 뉴스 버드에서 같은 취지로 실시하고 있었지만 뉴스 버드에서의 방송은 2011년부로 종료됐다). 또한 같은 JNN 계열의 마이니치 방송의 모회사(인정방송 지주회사)인 MBS 미디어홀딩스 산하의 GAORA에서는 방송 실적이 없다.


;TV 도쿄 계열

  • CS에서의 방송 실적 없음(직접 관할하는 닛케이 CNBCAT-X는 각각 편성의 특수성의 관계상 방송할 수 없음).


;후지 TV 계열

  • 후지 TV ONE(739) 또는 후지 TV TWO(721)에서 지상파와 같은 내용으로 완전 생중계(사정에 따라 녹화 중계한 경기도 있음).


그 외 2010년에는 지상파 전국 방송을 하지 않는 경기가 있었기 때문에 J SPORTS로 1·2·5차전을 자주 제작(이중 1차전은 TV 아이치의 영상을 제공받아)으로 방송했다. 더욱이 FOX SPORTS 재팬·스포츠 라이브+는 방송 실적이 없다.

5. 2. 라디오 중계

일본 시리즈는 NPB 주최이기 때문에 정규 시즌의 방송권 유무에 관계없이 평등하게 중계할 수 있다. 정규 시즌 및 클라이맥스 시리즈는 방송 불가능한 JRN 계열에 있어서의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홈 경기도 일본 시리즈에서는 중계할 수 있다.[75] 방송권은 원칙적으로 일본 시리즈 모든 경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기준으로 경기에 관계없이 매년 생중계하는 방송국은 NHK 라디오 제1방송[75][76]분카 방송, 닛폰 방송(2020년까지는 마이니치 방송의 라디오 부문) 등 4개 방송국이다.[77] 그리고 도카이 라디오는 예전에 주니치가 출전했을 시에 방송했지만 주니치가 일본 시리즈에 출전하지 못한 2012년 이후에도 2020년 이외의 경기에 관계없이 NRN 넷으로 중계하고 있다.[78][79] ABC 라디오는 2019년 이후 ‘한신이 출전하지 않는 일본 시리즈는 중계하지 않는다’는 방송국 내부 방침에 따라 중계를 미루다가 2023년에 한신의 일본 시리즈 진출이 결정되면서 2018년 이후 일본 시리즈 중계가 이뤄지게 됐다.[80]

또한 일본 시리즈 기간 중 야간 오프의 편성을 위해 정규 시즌과 네트워크 편성이 다른 이상 인터넷 방송을 하지 않는 방송국도 생긴다. 그리고 현지 구단이 있는 방송국에서는 현지 구단이 출전한 그 경기만을 방송하는 경우[81]도 있다. 2017년까지는 많은 민영 방송국들이 방송하고 있었지만 TBS 라디오 철수 이후로는 급감하여 2024년에는 구단 비소재지에서는 방송이 없어지고 NHK 단독으로 방송 지역이 많아졌다.

라디오 오사카는 2006년 이후[82], TBS 라디오[83]CBC 라디오[84]는 2018년 이후, 방송을 실시하지 않았다. RF라디오닛폰은 2013년 이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 경기만 방송했다.[85]

FM에 대해서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가 진출한 경우에만 FM 넥파이브에서 방송되고 있다.

6. 인터넷 중계

일본 시리즈의 인터넷 중계는 2016년에 개국한 AbemaTV(현: ABEMA)가 처음으로 도입했다.[121] 그 해에는 출자회사인 TV 아사히가 중계하는 경기에서 독자적인 실황·해설을 붙이는 방식으로 동시 전달을 실시했다.[121] 그 외의 키국이 출자회사가 되고 있는 인터넷 전송업자에 있어서도 2018년부터 훌루(닛폰 TV), Paravi→U-NEXT(TBS·TV 도쿄), 후지 TV ONEsmart(후지 TV)에서 동시 전송을 하게 됐고 2018년엔 전 경기를 인터넷에 전송되는 첫 사례가 됐다.[121] TVer(재경 민방 텔레비전 방송국 5사 공동출자)에서는 2022년부터 일본 시리즈를 동시에 배포하고 있다.[121] 더욱이 정규 시즌, 클라이맥스 시리즈와는 주최가 다르기 때문에 DAZN, 퍼시픽 리그 TV 등에서의 중계는 이뤄지지 않는다.[121]

7. 기타

7. 1. 일본 시리즈 매치업

구단퍼시픽
오릭스소프트뱅크세이부닛폰햄지바 롯데라쿠텐긴테쓰
센트럴요미우리1967(요미우리-한큐), 1968(요미우리-한큐), 1969(요미우리-한큐), 1971(요미우리-한큐), 1972(요미우리-한큐), 1976(요미우리-한큐), 1977(요미우리-한큐), 1996(요미우리-오릭스) - 1951(요미우리-난카이), 1952(요미우리-난카이), 1953(요미우리-난카이), 1955(요미우리-난카이), 1959(요미우리-난카이), 1961(요미우리-난카이), 1965(요미우리-난카이), 1966(요미우리-난카이), 1973(요미우리-난카이), 2000(요미우리-다이에), 2019(요미우리-소프트뱅크), 2020(요미우리-소프트뱅크) - 1956(요미우리-니시테쓰), 1957(요미우리-니시테쓰), 1958(요미우리-니시테쓰), 1963(요미우리-니시테쓰), 1983(요미우리-세이부), 1987(요미우리-세이부), 1990(요미우리-세이부), 1994(요미우리-세이부), 2002(요미우리-세이부), 2008(요미우리-세이부) - 1981(요미우리-닛폰햄), 2009(요미우리-닛폰햄), 2012(요미우리-닛폰햄) - 1970(요미우리-롯데) - 2013(요미우리-라쿠텐) - 1989(요미우리-긴테쓰) -
한신2023(한신-오릭스) - 1964(한신-난카이), 2003(한신-다이에), 2014(한신-소프트뱅크) - 1985(한신-세이부) - 1962(한신-도에이) - 2005(한신-지바 롯데) - ××
주니치×1999(주니치-다이에), 2011(주니치-소프트뱅크) - 1954(주니치-니시테쓰), 1982(주니치-세이부), 1988(주니치-세이부), 2004(주니치-세이부) - 2006(주니치-닛폰햄), 2007(주니치-닛폰햄) - 1974(주니치-롯데), 2010(주니치-지바 롯데) - ××
야쿠르트1978(야쿠르트-한큐), 1995(야쿠르트-오릭스), 2021(야쿠르트-오릭스), 2022(야쿠르트-오릭스) - 2015(야쿠르트-소프트뱅크) - 1992(야쿠르트-세이부), 1993(야쿠르트-세이부), 1997(야쿠르트-세이부) - ×××2001(야쿠르트-긴테쓰) -
DeNA×2017(DeNA-소프트뱅크),2024( DeNA - 소프트뱅크) - 1998(요코하마-세이부) - ×1960(다이요-다이마이) - ××
히로시마1975(히로시마-한큐), 1984(히로시마-한큐) - 2018(히로시마-소프트뱅크) - 1986(히로시마-세이부), 1991(히로시마-세이부) - 2016(히로시마-닛폰햄) - ××1979(히로시마-긴테쓰), 1980(히로시마-긴테쓰) -
쇼치쿠××××1950(쇼치쿠-마이니치) - ××


  • 일본 시리즈에 진출할 당시 전신 구단 목록
  • * DeNA: 다이요 웨일스, 요코하마 베이스타스
  • * 오릭스: 한큐 브레이브스, 오릭스 블루웨이브
  • * 소프트뱅크: 난카이 호크스,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
  • * 세이부: 니시테쓰 라이온스
  • * 닛폰햄: 도에이 플라이어스
  • * 지바 롯데: 마이니치 오리온스, 다이마이 오리온스, 롯데 오리온스
  • 각 구단 약칭은 다음과 같다.
  • * 자=자이언츠(요미우리), 한=한신, 중=중일, 요=요코하마 DeNA, 야=야쿠르트(도쿄), 히=히로시마 도요, 오=오릭스, 소=소프트뱅크, 세=세이부(1979년~)/세이테쓰(1972년까지), 닛=닛폰햄(홋카이도), 롯=롯데(지바), 라=라쿠텐, 쇼=쇼치쿠, 다=다이요(요코하마), 한큐=한큐, 긴=긴테쓰(오사카), 난=난카이, 다이=다이에, 도=도에이, 마=마이니치/다이마이
  • 일본 시리즈 정상에 오른 구단은 '''굵은 글씨'''로 표기했다.
  • 매치업은 전신 구단을 포함한다.
  • 대전 결과의 숫자는 일본 시리즈에서 ‘ - ’를 나타내며 우세 구단은 '''굵은 글씨'''로 표기했다.
  • 현존하지 않는 구단도 포함하여 센트럴 리그 7개 구단과 퍼시픽 리그 7개 구단의 매치업 중에서 존재하는 매치업에 대해서는 대전 결과를 모두 기재했고 존재하지 않는 매치업은 ‘X’로 기재했다.
  • 일본 시리즈 출전 경험이 있는 구단만 기술한다.

7. 2. 전력외 통보

제2차 전력외 통보는 원칙상 클라이맥스 시리즈가 종료된 다음날부터 일본 시리즈가 종료된 다음날까지이지만 일본 시리즈 출전 팀은 그 기한이 4일간 연장된다.

참조

[1] 뉴스 日本シリーズ チャンピオンフラッグのお値段は? https://www.sponichi[...] 週刊野球太郎編集部 2018-10-24
[2] 웹사이트 Nippon Professional Baseball Organization http://npb.jp/eng/ Npb.jp 2022-07-13
[3] 이미지 2014_JS_logo.png
[4] 웹사이트 Buffaloes to allow ace pitcher Yoshinobu Yamamoto to move to MLB https://www.japantim[...] 2023-11-06
[5] 웹사이트 Long-suffering Hanshin Tigers end 'Curse of the KFC Colonel,' win Japan Series https://theathletic.[...] 2023-11-06
[6] 뉴스 日本シリーズ チャンピオンフラッグのお値段は? https://www.sponichi[...] 2018-10-24
[7] 웹사이트 巨人過去最高1億円余り 日本シリーズ分配金 http://www.47news.jp[...] 47NEWS 2009-11-11
[8] 일반 高校野球の地方大会などの試合などで使用される場合は、日本シリーズの試合を優先される。
[9] 웹사이트 SMBC日本シリーズ2016・NPB公式サイトの開催概要 https://npb.jp/nippo[...]
[10] 일반 東京オリンピックが開催されるため、7月16日、7月17日のオールスターゲームから8月13日の後半戦開幕まで約1ヶ月レギュラーシーズンを中断。さらにシーズン中にクライマックスシリーズ、日本シリーズの日程が当初の予定から1週間後ろ倒しになった。
[11]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 史上初延長タイブレーク検討 自治体の時短要請考慮 ギリギリ日程で“第8戦”の余裕なし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Annex
[12] 일반 ファーム日本選手権では前年2020年からの2年間採用されていたが、採用後はいずれも9回までで決着がついているため実際にタイブレーク実施には至らなかった。
[13]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第3戦終了後「タイブレーク」 3勝3敗3分の場合…超異例決着に https://www.sanspo.c[...] sanspo.com
[14]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 タイブレークの成績は参考記録に NPB実行委 https://www.sponichi[...] Sponichi Annex
[15] 일반 29日時点で勝ち数が同数の場合は、30日の試合を延長無制限で行って決着をつけるためタイブレークを行う想定にはなっていなかった。
[16]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史上初タイブレーク採用、試合終了後「仕切り直し」新オーダー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01-10
[17] 웹사이트 開催要項 https://npb.jp/nippo[...] 日本野球機構
[18]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 延長12回までに 決着つかなければタイブレークも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表彰選手|SMBC日本シリーズ2020 https://npb.jp/nippo[...]
[20]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に「SMBCみんなの声援賞」新設 -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https://www.sponichi[...] 2022-10-30
[21] 웹사이트 2020 SMBC日本シリーズ開催要項 https://npb.jp/nippo[...] 日本野球機構(NPB) 2022-10-26
[22] 웹사이트 2019 SMBC日本シリーズ開催要項 https://npb.jp/nippo[...] 日本野球機構(NPB) 2022-10-26
[23] 웹사이트 2022 SMBC日本シリーズ開催要項 https://npb.jp/nippo[...] 日本野球機構(NPB) 2022-10-26
[24] 일반 一方的な展開になっても、1956年の巨人(2勝4敗ながら表彰選手なし)を除き敗戦球団で最も活躍した選手が表彰され、「該当者なし」は例がない。
[25] 일반 同グループでは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がNPBパートナー(オフィシャルスポンサー)を務めている。
[26] 뉴스 今年は「SMBC日本シリーズ2014」に、10・25開幕 https://www.sponichi[...] 2014-09-02
[27]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2014」特別協賛社に三井住友銀行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リリース 2014-10-03
[28] 웹사이트 NPBパートナーに「三井住友銀行」 http://www.npb.or.jp[...] 日本野球機構NPBニュース 2014-10-03
[29] 웹사이트 極寒の日本S、選手もファンも「過酷」 気温7度台でも、熱戦に満足顔のオリファン https://www.kobe-np.[...] 神戸新聞
[30] 일반 1988年に東京ドームが開場するまでは12球団の本拠地が全て屋外球場で、現在もセ・リーグはヤクルト、DeNA、阪神、広島の4球団が、パ・リーグは楽天、ロッテの2球団が屋外球場、またパ・リーグの西武が、他の空調設備のある全天候型のドーム球場とは異なりドーム屋根とスタンドの隙間に壁が無く、空調設備もほとんど取り付けていない自然の空気を取り込めるベルーナドームを本拠地としている。
[31] 일반 本来のプロ野球地域保護権以外での越県開催の初の事例となった。
[32] 일반 読売新聞社が招待したニューヨーク(現サンフランシスコ)・ジャイアンツの単独チームと、毎日新聞社が招待したアメリカ大リーグ選抜チームによる大会。
[33] 일반 1953年第6戦以来のプロ野球地域保護権以外での越県開催となった。
[34] 웹사이트 仙台育英初優勝、東北108年目の悲願「白河越え」達成/東北の野球史 https://www.nikkansp[...] 2022-08-23
[35] 일반 1975では広島の本拠地・旧広島市民球場は当時実勢収容人員が24,500人、2013では楽天の本拠地・Kスタ宮城も28,120人(常設23,451人)で、規定の3万人を下回っていたが、いずれも開催されている。
[36] 뉴스 『日本シリーズ』巨人進出なら東京Dではなく…首都圏の他球場で開催 11月下旬から都市対抗で使用不可 https://www.chunichi[...] 中日スポーツ 2020-07-06
[36] 뉴스 ヤクルト江幡専務「首都圏の球場探す」日本S進出時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0-07-07
[37] 위키
[38] 뉴스 巨人セVなら京セラドームで日本シリーズ…東京ドーム使えず https://www.msn.com/[...] 読売新聞
[39] 뉴스 日本シリーズ第8戦、第9戦あれば京セラドーム大阪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1-19
[40] 위키
[41] 웹사이트 李大浩の2ラン、ビデオ判定 日本シリーズで初 http://www.asahi.com[...]
[42]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で初ビデオ判定 協議7分も判定覆らず https://www.nikkansp[...]
[43]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広島が連勝、勝負を分けたシリーズ史上初リプレー検証…ハムは4安打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2016-10-25
[44] 서적 ロッテ70年史 1950-2019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9-05-29
[45] 위키
[46] 뉴스 日本シリーズ、今年は全試合を地上波で全国中継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1-11-09
[47] 웹사이트 崩れた神話──なぜ日本シリーズの視聴率は低迷したのか https://www.news-pos[...] 2019-10-26
[48]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V4の日本S第4戦、北部九州で平均27・8%、瞬間最高38・2%の高視聴率 https://hochi.news/a[...] 2020-11-26
[49] 위키
[50] 위키
[51] 위키
[52] 위키
[53] 위키
[54] 위키
[55] 위키
[56] 위키
[57] 위키
[58] 위키
[59] 위키
[60] 위키
[61] 위키
[62] 위키
[63] 위키
[64] 뉴스 「日本S第五戦をCBCが中継へ」 中日新聞 2010-11-03
[65] 위키
[66] 위키
[67] 위키
[68] 위키
[69] 위키
[70] 위키
[71] 일반
[72] 일반
[73] 일반
[74] 일반
[75] 일반
[76] 일반
[77] 일반
[78] 일반
[79] 일반
[80] 일반
[81] 일반
[82] 일반
[83] 일반
[84] 일반
[85] 일반
[86] 일반
[87] 일반
[88] 웹사이트 TVer에서 프로야구 「일본 시리즈」전 경기 실시간 배포, 일본 최초 https://www.itmedia.[...] 2022-10-20
[89] 뉴스 일본 시리즈 챔피언 플래그의 가격은? https://www.sponichi[...] 2018-10-24
[90] 뉴스 자이언츠 역대 최고 1억 엔 이상 일본 시리즈 배분금 http://www.47news.jp[...] 47NEWS 2009-11-11
[91] 웹사이트 관련 내용(SMBC 일본 시리즈 2016) http://npb.jp/nippon[...]
[92] 뉴스 일본 시리즈 사상 첫 연장 타이브레이크 검토 지자체의 단축 요청 고려 촉박한 일정으로 “8차전”의 여유 없음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93] 뉴스 일본 시리즈, 9차전 종료 후 “타이브레이크” 3승 3패 3무의 경우…초이례 결착에 https://www.sanspo.c[...] 산케이 스포츠
[94] 뉴스 일본 시리즈 타이브레이크의 성적은 참고 기록으로 NPB 실행위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95] 웹사이트 일본 시리즈 사상 첫 타이브레이크 채용, 경기 종료 후 “다시 시작” 신 오더 https://www.nikkansp[...] 닛칸 스포츠 2022-01-10
[96] 웹사이트 개최 요항 https://npb.jp/nippo[...]
[97] 뉴스 일본 시리즈 연장 12회까지 결착 안 나면 타이브레이크도 https://www3.nhk.or.[...] NHK
[98] 웹사이트 表彰選手|SMBC日本シリーズ2020 https://npb.jp/nippo[...]
[99] 웹인용 일본 시리즈에 「SMBC 모두의 응원상」신설 https://www.sponichi[...] 2022-10-30
[100] 웹인용 2020 SMBC 일본 시리즈 개최 요항 https://npb.jp/nippo[...] 일본 야구 기구 2022-10-26
[101] 웹인용 2019 SMBC 일본 시리즈 개최 요항 https://npb.jp/nippo[...] 일본 야구 기구 2022-10-26
[102] 웹인용 2022 SMBC 일본 시리즈 개최 요항 https://npb.jp/nippo[...] 일본 야구 기구 2022-10-26
[103] 일반
[104] 뉴스 올해는 「SMBC 일본 시리즈 2014」에 10.25 개막 http://www.sponichi.[...] 스포츠 닛폰 2014-09-01
[105] 웹사이트 「일본 시리즈 2014」특별 협찬사에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http://www.npb.or.jp[...] 2014-10-02
[106] 웹사이트 NPBパートナーに「三井住友銀行」 http://www.npb.or.jp[...] 2014-10-01
[107] 웹사이트 極寒の日本S、選手もファンも「過酷」 気温7度台でも、熱戦に満足顔のオリファン https://www.kobe-np.[...] 2021-11-01
[108] 웹사이트 코나미 일본 시리즈 2011 경기 개시 시간 http://www.npb.or.jp[...] 2011-11-01
[109] 뉴스 日대지진, 巨人 역사도 바꿨다…개막 연기 확정 https://sports.news.[...] 이데일리 2011-03-25
[110] 웹사이트 仙台育英初優勝、東北108年目の悲願「白河越え」達成/東北の野球史 https://www.nikkansp[...] 2022-08-23
[111]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巨人進出なら東京Dではなく…首都圏の他球場で開催 11月下旬から都市対抗で使用不可 https://www.chunichi[...] 2020-07-06
[111] 웹사이트 ヤクルト江幡専務「首都圏の球場探す」日本S進出時 https://www.nikkansp[...] 2020-07-07
[112]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第8戦、第9戦あれば京セラドーム大阪 https://www.nikkansp[...] 2021-11-19
[113] 웹사이트 李大浩の2ラン、ビデオ判定 日本シリーズで初 http://www.asahi.com[...] 2015-10-29
[114]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で初ビデオ判定 協議7分も判定覆らず http://www.nikkanspo[...] 2015-10-30
[115]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広島が連勝、勝負を分けたシリーズ史上初リプレー検証…ハムは4安打 http://www.hochi.co.[...] 2016-10-25
[116] 간행물 SPECIAL CROSS TALK: 아리토 미치요×야마자키 히로유키 ‘24년 만에 일본 시리즈 정상의 기억’ 베이스볼 매거진사 2019-05-29
[117] 웹사이트 日本シリーズ、今年は全試合を地上波で全国中継 http://sankei.jp.msn[...] 2011-11-09
[118] 웹사이트 崩れた神話──なぜ日本シリーズの視聴率は低迷したのか https://www.news-pos[...] 2019-10-26
[119]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V4の日本S第4戦、北部九州で平均27・8%、瞬間最高38・2%の高視聴率 https://hochi.news/a[...] 2020-11-26
[120] 뉴스 일본 시리즈 5차전을 CBC가 중계 주니치 신문 2010-11-03
[121] 웹사이트 TVerでプロ野球「日本シリーズ」全試合をリアルタイム配信、日本初 https://www.itmedia.[...] 2022-10-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